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선제안이 살아있는 조직 삼성, 도요타 우수사례

by 나내바 2025. 6. 30.
반응형

"개선제안이 살아있는 조직의 비밀

성공한 기업들의 진짜 전략"

 

직원들이 제안을 안 해요.”

제도는 있는데 다들 시큰둥해요.”

혹시 여러분 조직도 이런 고민을 하고 있진 않으신가요?

하지만 반대로, 직원 제안만으로 혁신이 일어나고,

실적이 오르고, 분위기가 바뀐 기업들도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다를까요?

오늘은 개선제안이 살아있는 기업들의 5가지 공통 전략을,

실제 사례와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1, 리더가 먼저 움직인다

성공한 조직의 공통점 첫 번째, 바로 리더십입니다.

제안제도는 탑다운이 아니라 보텀업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리더가 얼마나 진심으로 임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립니다.

 

예시 1, 도요타(Toyota)

현장 작업자보다 관리자들의 제안이 더 많습니다.

중간관리자가 제안 건수를 직접 기록하고,

팀 미팅에서 공유합니다.

 

예시 2, 삼성전자

개선제안 포털에 임원이 댓글을 직접 남깁니다.

제안자가 이름도 몰랐던 임원에게 격려를 받는 순간,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리더의 한마디 피드백이,

10건의 교육보다 강력합니다.”

 

관련 동영상 보기

개선제안이 설공하려면 도요타, 삼성의 5가지 비밒 전략 동영상

 

2, 제안을 자신의 일로 여긴다

두 번째 비결은 개선제안을 '내 일의 일부'로 인식하게 만드는 문화입니다.

예시 1, LG전자

개선제안 캠페인을 KPI와 연동하여,

단순 참여가 아닌 '업무 속 성과'로 연결함.

 

예시 2, 현대모비스

직원들이 불편한 점을 메모지에 적어

'내 일 불편함 게시판'에 붙이는 캠페인 운영.

익명 게시도 가능, 부담 없이 참여 가능

이처럼 개인의 경험, 불편, 일상 속 문제의식을

'공식적 제안'으로 끌어올리는 설계가 필요합니다.

3, 실행과 피드백이 빠르다

세 번째 포인트는 실행력과 피드백 속도입니다.

 

예시 1, LG CNS

전산시스템으로 제안 접수부터 결과 공유까지 실시간 관리

누가 어떤 제안을 했고,

실행 여부, 효과까지 한눈에 볼 수 있음

예시 2, 한화케미칼

우수제안은 3일 이내 피드백, 1주 내 실행 여부 결정

실행되면 전사 메일로 결과 공유

제안이 묻히지 않는다는 확신, 그것이 참여를 이끕니다.”

 

4, 작은 제안도 인정한다

성공한 기업은 크고 대단한 제안만을 원하지 않습니다.

예시 1, SK하이닉스

"30초 절약 제안"도 포상 대상

실제로 연간 수십억 원 비용 절감 효과

예시 2, POSCO

매일 1, '소소한 개선' 캠페인 운영

단순 정리정돈, 동선 단축도 개선 인정

결국, 작은 제안을 소중히 여기는 문화가 더 큰 제안을 부릅니다.

 

개선제안 성공우수기업 사례

5, 전사적 참여 시스템

마지막으로, 전원참가 구조입니다.

예시 1, 쿠팡 물류센터

모든 파트원은 매월 1건 이상 제안

제안 우수자는 팀 미팅 발표자 선정

예시 2, 한국전력공사

제안이 성과평가에 가점으로 반영됨

팀 제안제도 병행으로 협업 유도

전사적 참여가 되려면 개인의 자율성 + 제도적 구조가 모두 필요합니다.

 

끝으로

오늘 말씀드린 성공사례 5가지, 다시 한번 정리합니다

첫째, 리더가 먼저 움직인다

둘째, 제안을 내 일처럼 느끼게 만든다

셋째, 실행과 피드백이 빠르다

넷째, 작은 제안도 인정한다

다섯째, 전사적으로 참여하게 만든다

이제 여러분의 조직에서도, 제안이 살아 숨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