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물가 폭탄 품질은 높이고 비용은 줄여라
1. 최악의 물가 폭판 펑펑펑
요증 시장에 가면 채소류가 엄청 올랐습니다. 과일도 봉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한 개씩 들었다 놓았다 하면서 겨우 한 개를 선택하게 됩니다. 배추 한단이 7,500원이라서 올라도 너무 올랐다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비싸다 보니 장보기가 겁나는 시대입니다. 달러가 오르니 수입물가도 오르고 시골에서는 농사지을 사람이 부족하니 인건비 또한 장난이 아닙니다. 인건비도 비싸지만 일할 사람도 없습니다.
2. 최저임금의 문제점
2024년 최저임금이 월 209시간 기준으로 206만 740원 입니다. 이러니 자영업자들은 인건비 때문에 사람채용이 어렵습니다. 고임금 고물가 고환율 등으로 이자와 임대료도 못 내고 있는 형편입니다. 그러니 고용지표는 60대의 일자리만 늘어나서 정부의 눈가림만 하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의 일자리는 줄어들고 노인 일자리만 형식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적은 비용으로 사람을 고용시키기 위해서는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 또는 알바 형태로 단시간으로 10개월 이내로 근무를 하게 하면 퇴직금도 주지 않아도 됩니다. 한 사람의 인건비 이상을 뽑아내지 않으면 비용감당이 되지 않습니다. 즉 부가가치가 있어야 이제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습니다.
3. 품질은 높이고 비용은 줄여라
중국에서 저가제품이 몰려 들어오고 있습니다. 알리, 태무 등 기존 유통업을 무너뜨리기 위해서 자본력을 바탕으로 밀어 붙이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대응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품질은 높여야 되고 비용을 줄여서 환경에 적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른 방법이 통하지 않는 세상이기 때문에 고객만족을 위해서는 좋은 품질로 승부를 하고 비용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그것만이 살아 남울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그래서 요즘 중소기업에서는 나내바 개선활동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기업 개선활동 > 개선제안 제안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선제안, 제안활동 활성화로 강한 기업을 만들어 가는 방법 (0) | 2024.04.27 |
---|---|
제안활동 제안제도를 통한 일터혁신 기업문화 정착 (0) | 2024.04.27 |
성공적 개선활동 이렇게 하라 개선제안 제안활동 제안제도 사례연구 (0) | 2024.04.16 |
개선제안 활성화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4.03.26 |
개선제안 교육, 불편한 업무 제안하여 개선한 사례연구 (0)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