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3 나내바 개선제안 실시의 원칙 최소한의 방책 우선은 차선책 기업의 저력 개선은 실시되어야 가치가 있다. 근존적인 해결만이 아니라 최소한의 방책으로 수선은 차선책을 찾아 바꾸는 것이 기업의 저력을 만들어 낸다. 1. 나내바 개선제안 실시의 원칙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 일지라도 실시되지 않는 다면 그림의 떡에 지나지 않는다. 즉 개선제안에 있어서 실시 될 수 없는 아이디어는 좋은 아이디어가 아니다. 실시되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이다. 왜냐하면 개선제안은 되도록 빠르게 실시되는 것을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를 하기 때문이며 개선제안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제약이 가로막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돈과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안 된다고 하는 피동적인 말도 많이 나온다. 그러나 시간과 돈이 풍족하다면 개선제안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여러 가지로 바꾸거나 일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질이란 무엇인가 업무의 레벨 업 기준과 현상 능력의 차이 개선제안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하면 사원들은 어렵게 생각하고 참여하지 않게 된다.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기준과 현상을 명확히 하여 능력발휘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줘야 한다. 1. 나내바 개선제안 질이란 무엇인가 개선제안의 질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질을 높여야 한다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개선제안을 전사적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이상에는 이심전심이란 없다. 각각의 가치관이 차이가 나는 사람들끼리 모여 개선제안 활동을 하는 것이므로 우선 “질이란 무엇인가“ 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첫째, 결과가 있어야 한다. 작더라도 실시하여 효과가 나타나야 한다. 둘째, 필요에 의한 개선제안 이다. 시켜서 억지로 하는 것이 진실이 아니다. 건수나 참가율 등이 훌륭한 수치를 나..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업무의 유용성 현실과의 전쟁 개선제안 능력 양과 질 시대의 변화로 AI 쳇GPT 등 일의 변화가 많다. 업무는 현실과의 전쟁이므로 개선제안 능력과 양을 통해서 질을 이끌어 낼수 있다. 1. 나내바 개선제안 업무의 유용성 우리의 일에는 코스트가 들어가는데 그 중에서 가장 많이 들어가는 것이 인건비로서 매년 10% 전후애서 올라가며 같은 일을 같은 시간에 매년 똑같이 반복하고 있다면 늘어나는 인건비를 감당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건비를 흡수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해 진다. 불편하지만 참고 견디는 것은 과거의 방법이다. 능력이 있는 사람은 어떠한 일을 던져줘도 매끄럽게 일 처리를 한다. 일하는 방법의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그러한 방법의 차이를 연구하여 매년 증가하는 비용을 줄여 나가야 한다. 어떠한 일이라도 빠르게 안전하게 정확하게 해야 하고 기업이..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일을 바꾸는 도구 장점에 눈을 떠라 전원참가 일하는 방법의 차이 일하는 방법을 바꾸기 위한 도구가 개선이다. 장점에 눈을 떠야 발전할 수 있다. 작은 변화는 전원참가가 되어야 하며 일하는 방법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1. 나내바 개선제안 일을 바꾸는 도구 이솝 우화에서 북풍은 강제로 옷을 날려 버리려고 하지만 바람이 세어질수록 나그네는 죽기 살기로 옷을 잡는다. 그러나 태양은 단지 따뜻한 햇빛만 비추었는데도 땀이 난 나그네는 스스로 옷을 벗는다. “개선제안해라” 라고 말만해서는 자기의 안을 빼앗기는 것과 같은 착각에 빠져 버린다. 태양과 같이 스스로 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개선제안은 아주 쉽다. 개선제안은 아주 흔하다. 개선제안은 주변에 널려져 있다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 개선제안의 출구가 보이게 된다. 말에게 강제로 물을 먹일수가 없지만 강가까지는 데리고 가..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고객은 서비스로 판단 기업격차 쉽기 때문에 어려워 강타와 잽의 조화 고객은 서비스로 회사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작은 변화에 잘 적응하는 회사가 기업격차를 만들어 앞서간다. 그러므로 작은 변화의 잽과 큰 변화의 강타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 1. 나내바 개선제안 고객은 서비스로 판단 회사의 사규나 경영방침에 자기의 일을 효율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일부러 개선제도를 통해서 할 필요가 있는가“ 라고 의견을 가진 사람도 있다. 전사원의 공통된 인식이 형성되어 있다면 개선제안 활동의 추진은 불필요 할지 모른다. 아무리 경영방침을 잘 만들어도 매출과는 무관하듯이 방침대로만 하면 된다는 사고는 통용되지 않는다. 고객은 회사의 이념이나 방침을 보고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품질이나 서비스의 차이에 의해 판단하고 결정한다. 고객인식이 바뀌고 있는데 회사의 방침만을 고..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정의 일은 목적 개선은 수단 약한 회사 강한 회사 개선의 현재화 개선제안 정의가 명확해야 갈등이 발행하지 않으며 일은 목적이 되고 개선은 수단이다. 약한 회사와 강한 회사의 차이는 이러한 사소한 개선이 누적되고 있는 가 아닌가의 차이로 생긴다. 따라서 개선의 현재화가 필요하다. 1. 개선제안 정의 개선제안을 통한 능력개발을 위해서는 개선의 정의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해야 한다. 이점이 명확하지 않아서 사람들 간에 갈등이 발생한다. 개선제안 이라는 말을 우리는 흔히 사용하고 있고 신문이나 잡지에도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다. 그러다 보니 누구나 이해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막상 “개선이란 무엇입니까? “ 라고 하면 각각의 대답이 다르다. 즉 각각의 사람마다 차이 나는 정의를 가지고 있어서는 곤란하다.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은 문제해결의 개선사례를 보.. 2024. 1. 31.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